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순대외자산(Net International Investment Position·NIIP)이 2024년 59%에서 2030년에는 75%를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대외자산은 외환보유액과 함께 국가의 대외 건전성을 보여주는 지표로, 외환위기와 같은 충격 상황에서 환율 급등이나 자본 순유출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26일 IMF의 '2024년 대외 부문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기준 한국의 순대외자산은 약 1조1000억 달러로 나타났다. GDP 대비 59% 수준으로, 2014년 이후 처음으로 플러스를 기록한 이후 꾸준히 증가해왔다. 순대외자산은 국내 경제주체가 보유한 해외금융자산에서 외국인의 국내 금융 투자금을 뺀 금액이다. 이 수치가 클수록 외부 충격에 대한 완충 능력이 크다. 유사시 해당 자산을 매각해 자금을 국내로 유입시킬 수 있어서 간접적인 방파제 역할을 한다.
IMF는 우리나라의 순대외자산이 지속적인 경상수지 흑자를 바탕으로 더욱 확대될 것으로 내다봤다. 2030년에는 GDP 대비 75%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했다. 대규모의 순대외자산의 보유 구조도 다각화돼 있다고 평가했다. IMF는 “해외자산은 주식·채권 증권투자가 약 40%, 달러화 표시 자산이 약 60%를 차지해 해외 자산 보유가 다각화돼 있다”고 했다.
IMF "한국 순대외자산, 2030년 GDP 대비 75% 전망"
40
ツイートLINEお気に入り
24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