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주요 종목 분석: 삼성전자 vs. SK하이닉스
삼성전자:
실적 기대치: 과거 2024년 7월, 분기 영업이익 15조 원(연 60조 원)을 기대했으나 실제 올해 실적은 30조 원 수준에 그쳤습니다.
목표 주가: 최근 실적(12조)과 내년 기대치(분기 16조~18조, 연 70조)를 반영한 증권사 목표 주가는 10만 원대입니다
상승 조건: 삼성전자가 12만 원 이상, 즉 P/E 15배~20배를 받으려면 '사이클 주식'이 아님을 증명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HBM4에서 하이닉스를 위협하고, 파운드리 실적을 개선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합니다.
SK하이닉스:
밸류에이션: 현재 PER이 7점 몇 배 수준으로, 10배 정도인 마이크론보다 낮게 평가받고 있습니다.
마이크론 사례: 마이크론은 최근 이익 추정치를 24% 상향하며 목표 주가를 높였습니다.
잠재력: HBM에서의 독보적 지위가 인정받고 있습니다. 만약 하이닉스의 EPS(주당순이익)가 6~7만 원에 도달하고 P/E 10배를 적용받는다면, 주가는 60~70만 원도 가능하다고 계산합니다.
4. 시장 전망 및 투자 전략
유연한 대응 (트레이딩): 한국 시장은 기본적으로 '트레이딩 장'이므로, 매일 뷰를 바꾸며 유연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 정보가 실시간으로 바뀌기 때문에 개인 투자자는 전문가에게 맡기는 것도 방법이라고 조언합니다.
코스피 전망: 삼성전자와 하이닉스가 현재(촬영일) 기준 10~15% 더 오르고, 환율 하락(1350원) 등 긍정적 요인이 더해진다면 KOSPI 3,900 ~ 4,100까지도 가능하다고 봅니다.
환율 하락 수혜주: 환율이 하락하면 한국전력 같은 부채 비율이 높은 기업이 수혜를 볼 수 있다고 언급합니다.
4,000 안착 조건: 지수가 4,000에 안착하려면 반도체가 계속 상승세를 유지하는 가운데, 그동안 부진했던 자동차, 2차전지 등이 원기를 회복해야 한다고 봅니다
대한민국 기업 그룹 시가총액
465
ツイートLINEお気に入り
322
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