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급 실적을 낸 SK하이닉스가 지난해 7조원에 육박하는 빚을 갚으며 재무건전성이 크게 개선됐다. 미국 빅테크의 러브콜을 받은 덕에 미국 매출은 2.8배 증가했고 전체 매출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도 60%를 돌파했다.
21일 SK하이닉스가 공시한 지난해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SK하이닉스의 차입금은 22조6837억원으로 2023년 29조4686억원 보다 23%(6조7849억원)가량 줄었다. 최근 3년간(2021~2023년) SK하이닉스의 차입금은 매년 5조~6조원 늘었는데 추세가 급반전한 셈이다. 1년 동안 7조원에 가까운 돈을 상환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자연스레 현금과 현금성자산(단기금융상품·단기투자자산 포함)은 같은 기간 8조9209억원에서 14조1563억원으로 58.7% 급증했다. SK하이닉스 관계자는 “AI 메모리 수요 성장으로 지난해 사상 최고 실적을 기록했고 이를 바탕으로 재무건전성이 좋아졌다”고 설명했다.
SK하이닉스는 지난해 매출 66조1930억원, 영업이익 23조4673억원으로 역대 최대 기록을 다시 썼다.
미국 판매법인 'SK하이닉스 아메리카'는 지난해 매출 33조4859억원으로 전년 대비 무려 2.6배 뛰어올랐다. 미국 판매법인을 포함한 미국(미국 고객) 매출은 전체의 63.4%에 달하는 41조9611억원으로 2020~2023년 SK하이닉스 전체 매출 중 미국 비중이 39∼53%였던 것과 비교하면 돋보인다. 이 중심에는 엔비디아가 있다. SK하이닉스는 지난해 ‘전체 매출액의 10%를 상회하는 주요고객’으로부터 10조9028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는데 이름을 밝히진 않았지만 엔비디아로 추정된다.
SK하이닉스는 실적 자신감을 바탕으로 아낌 없이 투자했다. 지난해 연구개발비는 4조9544억원으로 전년 대비 8000억원 증가하며 역대 최대치를 찍었다. 시설투자비는 17조9560억원으로 전년의 3배에 육박했다.
올해 영업이익은 40조원 전망 올해 설비투자는 25조원 전망 수년뒤 현금이 100조원 쌓인다
HBM 호황 올라탄 SK하이닉스, 7조 빚 갚고 실탄 충전
13
ツイートLINEお気に入り
9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