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부동산 가격이 하락하지 않는 이유

127

    • 1名無し2021/05/23(Sun) 19:42:03ID:E3MDMwODM(1/1)NG報告

      1. 인구가 줄어들지만 1인 가구의 증가로 집의 수요는 증가한다.
      2. 지방 도시의 몰락으로 더 많은 인구가 서울에 집중되어 서울의 부동산 수요 증가.
      3. 다른 대도시에 비해 서울은 여전히 저평가
      4. 한국의 LTV 비율은 40%로 다른 나라에 비해서 매우 낮기 때문에 대출이 건전하여 채무 불이행 위험이 적다.
      5. 수많은 외국인들이 서울에 거주하고 싶어하며 중국인들이 서울의 부동산을 구매하려고 한다.
      6. 저출산 고령화가 오랫동안 진행된 유럽에서도 부동산 가격은 장기적으로 상승했다.
      7. 일본의 경우는 자연 재해가 잦고 지나친 거품이 있었기 때문에 하락했다. 따라서 한국과는 다르다.
      8. 일본의 경우에도 도쿄 중심지는 역사상 하락한 사례가 없다. 그러므로 서울의 중심지도 그럴 것이다.

      ------------------

      한국의 많은 사람들이 이것을 근거로 서울의 부동산 가격은 하락하지 않는다고 주장합니다.

      다만 저의 의견은 조금 다릅니다. 8가지 이유에 대한 저의 의견은 다음과 같습니다.

      1. 1인 가구는 대형 평수의 주택에 반드시 거주해야 하는 이유가 없습니다. 그리고 서울은 겨울이 혹독하게 춥고 여름이 매우 더운 도시이기 때문에 냉방비와 난방비가 매우 높아서, 1인이 대형 평수에 거주하기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2. 지방 도시가 몰락해서 서울로 이주한다고 하더라도 서울의 인구 감소 속도가 더 빠를 것이라 생각합니다.
      3. 전혀 그렇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4. 전세 제도로 인해서 실질적인 LTV는 매우 높습니다.
      5. 전혀 그렇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외국인들은 서울을 거주 환경으로 좋아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6. 유럽은 집의 수명이 100년 이상으로 매우 길기 때문에 한국과 비교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7. 한국은 자연 재해가 없어도 집의 수명이 자체적으로 매우 짧기 때문에 일본과 비교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합니다.
      8. 통계를 보았는데, 90년대 초에는 도쿄 중심지도 역시 하락했습니다.

レス投稿

画像をタップで並べ替え / 『×』で選択解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