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国観光地にはインスタ写真だけあり文化がない」 外国人の苦い声

145

    • 1名無し2023/09/05(Tue) 02:37:54ID:c5NTkwNjA(1/3)NG報告

      外国の観光客は韓国の村型観光地をどのように評価しているのか。 韓国日報は世界最大の旅行サイトである「トリップアドバイザー」に上がってきた外国人たちの不満後期を分析した。 彼らの率直な本音を読むためだ。 分析対象は2015年からソウル北村韓屋村と益善洞韓屋街、釜山甘川文化村、仁川東和村、統営東皮ラン文化村、済州尖島など6ヶ所に対して評価3点以下(5点満点)を与えた後期997件

      「文化的なものはないからだまされないで」
      外国の観光客は、国内の村型観光地が「認証ショット」を残すことに特化していると評価した。 'インスタ感性'(インスタグラムに載せるほどの雰囲気)の写真を撮るには良いが期待していた'ローカル感性'(特有の地域性)を感じるのは難しかったという意味だ。 997件の後期に「写真」という単語(自分撮りなど含む)はすべて367回登場したが、否定的な脈絡としても多く使われた。

      トリップアドバイザーに残した外国人の苦情グラフィック=パク・クウォン記者
      フィンランドから来た観光客は甘川文化村に別点3点を与え、「幼い王子の造形物と写真を撮るために列を50mも立たなければならなかった」と思い出した。 彼は「甘川文化村は(地域民の生活の採取を感じることができる)「村」というよりは「観光地」だった」と指摘した。 この村に評価3点を与えたマレーシア観光客も「文化」という言葉に惑わされてはいけない。ここには文化的なものは全くない」と書いた。 イギリスの観光客は「素敵な写真が撮れる場所があったが、コーヒーショップや観光客向け店が並んでいた」としながら「(甘川文化村)韓国のサントリーニとマーケティングするが(イギリスプレミアリーグサッカーチーム)リバプールFCと3 ブリーグチームを比較する格好」と批判した。

      仁川童話村を観光したシンガポール人も「写真を撮るには良いが特別なことはない。 外国人を村に長く滞在するように誘導して財布を開くようにする世界的観光の流れと離れたという評価だ。

      https://m.hankookilbo.com/News/Read/A2023082518330001657

    • 96名無し2023/09/06(Wed) 18:55:44ID:Y1NDIwMTg(13/18)NG報告

      지금으로 치면 주택인 <옥사(屋舍)>와 생활용품인 <기용(器用)>도 사치향락의 상징이었다.

      “진골의 집은 길이·너비가 24자를 넘지 못한다. 당와(唐瓦)를 덮지 않고 금·은 등으로 장식하지 않는다. 진골은 물론 6두품까지 침대를 대모·침향으로 장식하지 않는다.”

      침대까지 외제 ‘대모와 침향’으로 장식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침향은 지금으로 치면 동남아산 티크재 원목 정도로 볼 수 있다. 최고급 원목가구에 대한 신라인들의 사랑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지금도 별반 다르지 않는 풍조가 아닌가.

      또 진골과 6두품은 물론 일반백성들까지 ‘집을 금은으로 장식하지 마라’고 규정했다. 12세기 아랍지리학자 알 이드리시가 “신라에서는 개(犬)의 목걸이도 황금이었다”고 하지 않았던가. 그만큼 황금이 흔했다는 얘기다.

      생활용품(기용)도 외제품으로 가득했다.

      “6두품에서 일반백성들까지 금·은 도금한 그릇과, 호랑이 가죽과 구수와 탑등을 쓰지마라.”

      금은 그릇과 호랑이 가죽은 물론 구수와 탑등까지…. 구수와 탑등은 양모를 둘다 주성분으로 잡모를 섞어짠 페르시아(波斯)산 직물이다. 여러 명이 앉을 수 있는 긴 의자(평상·榻)에 깐다. 구수 보다는 탑등이 좀더 섬세한 것이 특징이다. 신라의 일반백성들이 페르시아의 직물(구수와 탑등)을 깐 걸상까지 수입해서 사용했음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지난 1966년 불국사 다보탑에서 발견된 유향(乳香)도 아랍산이다. 아라비아 반도 남단의 하드라마우트(Hahdramaut) 연해에서 생산되는 향료이다. <제번지>는 “유황은 수마트라 파램방(Palembang)에 집화되어 중국으로 수출됐다”고 전하고 있다. 이것을 신라가 수입한 것이다.

    • 97名無し2023/09/06(Wed) 19:01:53ID:Y1OTY5NjQ(1/1)NG報告

      >>96
      君の話って元になってる文献って
      何になるの?

    • 98名無し2023/09/06(Wed) 19:13:12ID:ExNzkwODY(2/2)NG報告

      >>96
      YouTubehttps://www.youtube.com/watch?v=axH6bPL2JfU
      “浮かない船”に巨大釜…多額の公金が投入された「厄介者」に批判 韓国|TBS NEWS DIG

      およそ430年前、朝鮮出兵に踏み切った日本を苦しめたとされる亀甲船。韓国南東部の自治体・慶尚南道は13年前、観光資源にするため、今の日本円で1億7000万円あまりを投入し、亀甲船を再現した船を造りました。しかし…
      さらには、海に浮かばせようとしたところ浸水してしまい、引きあげられ放置される事態に。今年7月に解体され、木材は燃料として火力発電所に送られました。

      素晴らしい物があるじゃないか(´・ω・`)

    • 99バカなので判りません◆xCM4M.Awig2023/09/06(Wed) 19:22:34ID:EwODU3OTY(1/1)NG報告

      >>91
      >>『三国史記』の中、憲康王、在位875~886代のレースの様子を描いた記録には、「都城の中に瓦屋ばかり、茅葺屋は一切もなく、歌と音楽の音が道に満ちて夜昼に絶えなかった。また、炭でご飯を炊き、汗を使わなかった」

      9世紀にそんな豊かだった国が、なぜ1000年後には草葺き屋根で歪んだ丸太組の家しか無いような国になったのか、疑問には感じないのかね?

      >>93
      「東海の端には新羅という島がある。この島は西端にある「理想郷(Khalidat)」に備えられるほどだ。できるユートピアだ」

      知らなかった。
      新羅は島国だったのかw.

      まあ、今の大韓民国はたしかに陸の孤島ではあるけど。

    • 100名無し2023/09/06(Wed) 19:32:22ID:Y1NDIwMTg(14/18)NG報告

      >>99

      조선 정부가 유교 탈레반처럼 상업을 무시하고 주자학을 나라의 근본으로 만들어서 그렇다.

      신라는 반대로 물건을 사고 파는 상업을 중시한 나라다.

    • 101バカなので判りません◆xCM4M.Awig2023/09/06(Wed) 20:06:42ID:AxNjIwOTQ(1/1)NG報告

      >>100
      >>新羅は逆に物を買って売る商業を重視した国だ。

      どこにそんな記録が残ってる?
      いや、唐に朝貢したのは知ってるけど。

    • 102名無し2023/09/06(Wed) 20:12:31ID:U4MTk3ODQ(1/2)NG報告

      >>100
      で、新羅の金は中国に取り上げられたのか?w
      金の瓦なんか残ってないんだろ?ww

    • 103名無し2023/09/06(Wed) 20:29:31ID:Y1NDIwMTg(15/18)NG報告

      >>101

      당나라가 개방적인 나라여서 당나라와 가까운 신라도 당나라로 진출해서 해운업과 상업에 신라인들이 많이 활동하였다.

      중국이라는 거대한 시장이 있었기 때문에 물건을 팔아치우고 수입하는것에는 아무 문제도 없었다.


      신라와 아랍 간에 있었던 문명의 교역에 대한 증거로 이븐 쿠르다지바(Ibn Khurdadhibah)의 ‘제도로 및 제왕국지(845)’를 들 수 있다. 그는 신라의 지리적 위치를 밝히고 신라와의 무역의 목록들을 나열하고 있다. 비단, 검, 사향, 침향, 말안장, 초피, 도기, 범포, 육계 등은 신라가 수출한 물품들이었고, 아랍이 신라에게 수출한 물품은 유향과 안식향을 비롯한 아랍산 향료, 신라고분과 사찰에서 출토된 각종 유리기구, 일반서민들도 애용하던 구슬 같은 기호품, 단검이나 토용 등이었다. 신라 고분인 금관총, 금령총, 서봉총, 천마총, 황남동 98호 남분 및 북분에서는 20점 가량의 유리기구가 출토되었는데 이는 아랍계 상인들을 통해서 신라에 들어온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이러한 교역 물품을 통해서 아랍과 신라 사이에 문명의 접촉과 교류가 진행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신라는 동남아,이슬람하고도 교역을 하였다.

      신라 왕자도 상인으로 활동하였는데.
      일본과 직접적인 거래를 하였는 거래기록이 있다.

    • 104名無し2023/09/06(Wed) 20:31:01ID:g1NTQxODA(3/6)NG報告

      >>103
      それがなんで滅んだの?☺️

    • 105名無し2023/09/06(Wed) 20:35:50ID:Y1NDIwMTg(16/18)NG報告

      매신라물해 (買新羅物解)



      752년 일본 나라시대의 왕족과 귀족들이 신라사절단의 외래품을 구입한 문서. 관문서.

      752년 김태렴(金泰廉)을 대사로 하는 신라사절단이 가져온 외래품을 사기 위해 일본 왕족과 귀족들이 담당관청에 제출한 목록 및 구입신청서로서 신라와 무역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귀중한 1차 사료이다.


      일본정부는 752년 신라사절의 외래품을 구입하기 원하는 5위 관등 이상 고급 귀족들에게 그들이 필요로 하는 물건의 품목, 수량, 가격 등을 기록하여 담당관청에 제출하도록 한 문서이다. 제출 일자는 752년 6월 15일부터 7월 8일 사이이다.

    • 106名無し2023/09/06(Wed) 20:38:22ID:Y1NDIwMTg(17/18)NG報告

      신라시대에는 수도권을 벗어난 지방까지 도로가 연결되어 있었고 그래서 해산물을 먹을수있었다.

      조선시대에는 이 도로들이 전부 없어지게 된다.

    • 107名無し2023/09/06(Wed) 20:39:32ID:g1NTQxODA(4/6)NG報告

      >>106
      それがどうして滅亡したの?☺️

    • 108名無し2023/09/06(Wed) 20:40:56ID:Y1NDIwMTg(18/18)NG報告

      >>107

      중앙 권력이 무너지면서 귀족들의 반란을 하였다.

    • 109名無し2023/09/06(Wed) 20:41:24ID:U4MTk3ODQ(2/2)NG報告

      >>106

      妄想ばっかり。ww

    • 110名無し2023/09/06(Wed) 20:42:01ID:YzMDU0Ng=(1/5)NG報告

      >>109
      산지가 대부분인 한반도의 지리적 특성상 육로개발 보다는 수로와 인력을 통한 물류 운반을 중시했던 후대 왕조 조선과는 달리 육지에서의 도로와 수레 사용에 좀 더 적극적이었다. 경주 계림로 수레모양 토기 등의 다양한 유물이나 신라 서라벌과 옥천을 잇는 도로 유적 등의 발견을 통해 이러한 사실이 확인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경주 서봉총에서 4세기~5세기 경 신라인들이 먹었던 음식들이 출토되었는데, 안동 간고등어의 예에서 보듯 소금으로 짠지 수준의 염장을 하지 않고는 도저히 신선한 음식을 조달하기 힘들었던 조선시대와는 달리 갓잡은 듯한 신선한 해산물들이 잔뜩 들어가있어 당시 내륙 지방의 물류체계가 굉장히 원활했다는 사실이 밝혀지기도 하였다.YTN 뉴스

    • 111名無し2023/09/06(Wed) 20:43:33ID:g1NTQxODA(5/6)NG報告

      >>108
      その頃の日本も地方まで道路で繋がっていて、魚介類も食べることが出来たけど、新羅みたいに滅亡してないよ?☺️

    • 112名無し2023/09/06(Wed) 20:43:34ID:YzMDU0Ng=(2/5)NG報告

      그 밖에 <신라 촌락 문서>를 살펴보면, 토지와 주택, 주거지의 규모, 가축과 임목의 숫자와 종류까지 정확히 파악하여, 인구의 증감, 재산의 증감을 아주 정확하게 살펴보고 있다. 농업 용지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후대에도 있었던 공통적인 사항이지만, 가축의 수를 정확히 파악하고 특히 농업용 가축이 아닌 말의 숫자를 파악하여 전쟁이나 군사적인 목적으로 상시 동원하고 관리할 체계를 갖추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 외에도 산림 지역을 무주 공산으로 방치해 전국에 민둥산을 양산했던 조선 시대와 달리[6] 산림의 나무가 몇 그루인지와 수종을 정확히 파악하고 변동을 정기적으로 기록하며 관리하는 것이 확인된다. 해당 문서나 다른 자료에서 신라의 수공업이 어느 정도였는지 기록하고 있는 것이 부족하여 정확한 것은 알 수 없지만, 수공업 자재의 일종으로 수천 그루의 나무를 집중적으로 육성한 것으로 보아 비단 생산이나 목공을 위한 대규모 공업 시설이나 수공업 체계의 존재 등이 추정되고, 전성기 신라의 수도 경주에 대한 기록에서 숯으로 요리를 하며 사치를 누렸다는 것이 등장하는데, 체계적인 임목 관리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땔감이나 목재의 공급이 안정적이기에 가능한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특히 문서에서는 전체 임목 중 비단 생산에 필요한 뽕나무 재배 수량이 유달리 많은데, 촌락 문서에서 다루는 청주 인근 4개 촌이 뽕나무 육성에 특화된 마을인지 아니면 신라가 전체적으로 뽕나무 육성에 주력하였는지는 이 시기 행정 자료가 촌락 문서 하나 뿐이라 더 상세히 알 수는 없다. 그런데 신라라는 나라 이름의 라(羅) 자체가 비단이라는 뜻이 있고, 이 촌락 문서가 작성되기 한참 이전인 삼국 통일 이전, 신라라는 국호가 지증왕 대에 확정되기 전부터도 유잠국(有蠶國) 같은 누에치기와 연관이 깊은 이름을 썼던 기록이 있어서 원래 신라가 뽕나무 및 누에치기에 국가적으로 관심이 있었을 가능성도 있다.

    • 113名無し2023/09/06(Wed) 20:44:07ID:g1NTQxODA(6/6)NG報告

      >>112
      でも、滅亡したでしょ?☺️

    • 114名無し2023/09/06(Wed) 20:44:33ID:YzMDU0Ng=(3/5)NG報告

      뽕나무는 보통 뽕잎이 누에의 먹이로써 비단 생산을 위한 필수적인 수단이었고, 뽕나무 자체가 활과 화살통을 만드는데 주요한 재료였다는 점, 나뭇잎이 넓은 활엽수는 비록 나무 전체의 크기가 크지는 않지만 목질이 단단하여 가구재로서 적합해 수공업이나 공업용 재료로서 적합했다는 것을 감안하면, 촌락 문서의 뽕나무 재배 수량이 많은 점은 상공업을 위해 육성한 것으로 보인다. 뽕나무 문서에서도 살펴볼 수 있지만, 열매 채집 시기가 모를 심는 농번기와 겹치고, 뽕나무를 심으면 그 주변에 뿌리를 내려 다른 작물의 식생을 방해하므로 보통 농지와 멀리 떨어진 늪지나 습지 혹은 외곽에 심는다. 그러므로 농업을 보조하거나, 도와주기에 적합한 수목은 결코 아니다

    • 115名無し2023/09/06(Wed) 20:51:38ID:YzMDU0Ng=(4/5)NG報告

      >>111
      신라의 기술자가 건설한 일본의 도로

      고대 나라지방에는 남쪽의 후지와라경과 북쪽의 헤이죠경(平城京)을 잇는 3개의 관도(官道)가 개설돼 있었으며 이번에 발굴된 도로는 그 중의 하나다.

      도로 유적은 지금까지 70여m가 확인되었지만 계속 발굴하면 20여㎞에 달하고 가로지르는 도로도 발견될 것으로 예상된다.

      나라시 교위의 한 관계자는 '고고학자들의 발표가 있을 것이지만,후지와라경 명칭은 후지와라씨족의 본거지였음에 연유하며,이 유적 남쪽 인근 다카이치(高市)군은 고대에 주민 90% 가까이가 도래인(고대 한국인)이었다는 기록이 있고 후지와라씨족 역시 도래인이라는 학설이 지배적이니 신라와 연고가 깊은 것으로 여겨진다'고 부연했다

    • 116名無し2023/09/06(Wed) 20:54:54ID:EyNjQ0OTI(1/1)NG報告

      >>23
      『小林』の刻印がないか?

    • 117名無し2023/09/06(Wed) 21:01:45ID:YzMDU0Ng=(5/5)NG報告

      내일 일하러 가야되서 자야된다.

      다음에 다시오겠다.

    • 118名無し2023/09/06(Wed) 21:23:36ID:QyNzQyNTg(2/3)NG報告

      朝鮮総督府が残っていたら多くの日本人が韓国を観光したのにね^^

    • 119名無し2023/09/06(Wed) 21:31:17ID:AxMjcwMzY(1/1)NG報告

      >>115
      新羅と韓国無関係

    • 120名無し2023/09/06(Wed) 21:31:46(1/2)

      このレスは削除されています

    • 121名無し2023/09/06(Wed) 21:32:28(2/2)

      このレスは削除されています

    • 122名無し2023/09/06(Wed) 21:43:14ID:kwOTYyNTg(4/4)NG報告

      申采浩、高麗ができると新羅を抹殺、朝鮮ができると高麗を抹殺、
      文化が弱くなった。
      仏教系も破壊された。

      このような消去は、世界では珍しくはない。
      新しい国、米国などは歴史文化を感じることができる、数百年前の教会に泊まらせてもらい、
      信者の家にも行くと、貧しいながら深い歴史や文化を体験することができた。
      イスラムなどの地方やアジアの地方でも深い文化を感じることができる。
      韓国では両班に偏りすぎて、朝鮮の各地の地域文化が見えずらくなっていると思われる。
      小さくても面白い文化はある。

    • 123バカなので判りません◆xCM4M.Awig2023/09/06(Wed) 22:17:07ID:gwNDg0NTg(1/2)NG報告

      >>120>>121
      かつて新羅に住んでいた被支配者層の原住民の子孫が今も大韓民国に残っているってだけ。
      文化的な連続性といえば、新羅の伝統的な氏名・地名をすててこ中華風に改名した名称を使い続けているくらいじゃないの?

    • 124バカなので判りません◆xCM4M.Awig2023/09/06(Wed) 22:36:08ID:gwNDg0NTg(2/2)NG報告

      >>122
      そういう面では、712年に編纂された古事記の中に記されている内容が、読み下しさえすれば音韻的に現代人でも大意は理解できる日本の方が異常なのかもしれないね。
      遅くとも8世紀には確立されている事が確定している七五調の律動が、日本人にとって最も馴染みがあり、安心感すらある律動の一つとして現在まで続いている。

      この、連続性というものこそが文化の本質の一つだと思うんだけどね。

    • 125Ein Volk, ein Reich, ein Führer2023/09/06(Wed) 22:37:21ID:c1NzM2ODg(3/3)NG報告

      신라는 조선 따위보다는 건실한 나라였지.
      신분제 같은 고대 국가의 근본적인 문제는 있었지만 상업을 중시했고 기술도 나름 있었다.
      선박 제조 기술은 높지 않았지만 일본과 중국으로부터 선진 문물을 들여오는 대신에 조공을 바쳤다.

    • 126名無し2023/09/06(Wed) 22:45:46(1/1)

      このレスは削除されています

    • 127名無し2023/09/06(Wed) 22:58:07ID:QyNzQyNTg(3/3)NG報告

      노예제 연구가인 경제학자 스탠리 엥거만은 얼마 전 방한 당시 가졌던 한 강연에서 조선시대의 노예제도를 언급하며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는 특징을 지녔다”고 말한 바 있다.

      이유인 즉은 조선시대 노예의 대부분이 동족이기 때문이다. 조선을 제외한 동시대 대부분의 나라에서 노예는 주로 전쟁 포로 등 피정복지의 이방 민족이었다. 그런데 조선은 이웃 나라를 침공한 경우가 없었기 때문에 노예로 쓸 수 있는 전쟁 포로나 이방 민족이 없었던 것이다.

      조선의 학자 성현(成俔 1439~1504)은 “조선 사람 중 절반이 노비”라고 말하기도 했다. 아무리 인권과 민족 감정이 발달하지 못한 과거라고 해도 타민족들이나 천한 신분으로 삼았지, 어느 정도 동질감이 있는 같은 민족을 천한 신분으로 만드는 것은 세계적으로 꺼리는 편이었다.

      http://www.ilbe.com/10513603444



      한국은 노예로 필요한 민족임^^

    • 128名無し2023/09/06(Wed) 23:04:01ID:Y1MDQxOTQ(1/1)NG報告

      韓国人は見栄えを気にし過ぎるんだよな。
      だから、鑑賞用のオーパーツになる。
      いきなり完成形が突如として出現する。
      途上で派生したものの痕跡とかが無い。
      過去とも今とも繋がらない。

    • 129名無し2023/09/06(Wed) 23:54:51ID:IwODM3MTQ(2/2)NG報告

      起源より文化が大事。
      韓国人はこれが理解できない。
      だから百済がどうしたとかいう話しかできない。

    • 130名無し2023/09/07(Thu) 00:07:31ID:MzMTAyMDI(1/1)NG報告

      韓国は最高の文化を保有する国であるはずだ、と韓国人の己惚れたい心理だろう。
      彼らの自惚れはa drowning man will clutch at a straw.に近いものだと思う。
      不遇な歴史を隠蔽し井の中で何くれと国をあげて讃美歌を謳う国だ。詐欺カルトばかりの半島に神はありやなしや。
      「日本から見れば韓国も中国も同じに見えるだろう。」時に韓国人は自嘲するようだが、
      韓国人が北朝鮮をみるような感じで日本人は韓国をみているかもしれない。
      彼らは精神的に狭く貧乏だ。

    • 131名無し2023/09/07(Thu) 00:30:42(1/1)

      このレスは削除されています

    • 132名無し2023/09/07(Thu) 01:07:49(1/1)

      このレスは削除されています

    • 133タコ2023/09/07(Thu) 02:41:06ID:UwNTU5NDY(3/3)NG報告

      >>132
      全裸北道…
      ぼったくり待ったなし…

      その時点で終わっとるんやないか?w
      🤔

    • 134名無し2023/09/07(Thu) 03:00:19ID:YyNTE2MA=(5/6)NG報告

      >>110
      韓国人の妄想は計り知れないなwwwwwwwwwwww

    • 135名無し2023/09/07(Thu) 03:03:24ID:YyNTE2MA=(6/6)NG報告

      >>125
      >商業を重視し、技術もそれなりだった。

      韓国人は「○○が存在した」と言うが、証拠を出したことが無い。
      全部妄想。

    • 136名無し2023/09/07(Thu) 04:31:24(7/7)

      このレスは削除されています

    • 137名無し2023/09/07(Thu) 06:16:15ID:M4NDM5MTE(1/1)NG報告

      >>1歴史を捨ててきた‼️破壊してきた邑だから文明も、文化もあるわけがない🤣🤣🤣🤣

    • 138名無し2023/09/07(Thu) 15:40:21ID:Y5NDg5NTc(3/3)NG報告

      李氏朝鮮が全てを破壊した。三韓との繋がりは消失した。
      一方現代中国も同じく破壊した。中華との繋がりは消失した。

    • 139名無し2025/08/13(Wed) 12:20:42ID:IxOTY2NjY(1/1)NG報告

      韓国観光、7割がソウル集中…地方空港は“ほぼ休眠状態”

      韓国政府が掲げる「地方観光の活性化」政策とは裏腹に、外国人観光客の7割がソウルに集中しており、地方空港は機能不全に近い状態にある。観光消費も首都圏に偏っており、観光収支の赤字も過去最大規模に達している。

      韓国観光業界とヤノルジャリサーチの分析によると、2024年に韓国を訪れた外国人観光客1637万人のうち、73%が仁川または金浦空港を経由して入国した。地方空港(釜山・済州・大邱など)のシェアはわずか15.1%、残る11.1%は港湾を経由した。

      結果として、外国人の観光消費は首都圏に留まり、地方経済への波及効果は限定的となっている。2024年、韓国人による海外旅行支出は264億ドルだったのに対し、外国人の韓国旅行支出は164億ドルにとどまり、100億ドルもの観光収支赤字が発生した。

      米パデュー大学の教授でもあるヤノルジャリサーチのチャン・スチョン所長は「地方空港の活性化は単なる交通政策ではなく、韓国観光産業全体の経済的バランスを正すカギ」と指摘した。

      航空便の就航状況を見ると、日本と韓国の間では年間13万便以上の便数があるにもかかわらず、92.4%は韓国側航空会社が運航。日本の航空会社は「東京~仁川」「東京~金浦」「大阪~仁川」のわずか3路線に限定され、しかもすべてソウル発着で、地方空港への定期便はゼロだ。

      一方、韓国の航空会社は東京・大阪を含む日本全国30空港に定期便を運航している。このような一方的構造の中で、2024年に訪韓した日本人観光客322万人の大半はソウルに集中し、地方への流入は限定的だった。

      アクセスの悪さが外国人観光客にとって心理的障壁となっている現実を踏まえ、専門家らは「地方の空の玄関」再生こそが喫緊の課題だと強調する。

      /AFPBB News

    • 140名無し2025/08/13(Wed) 13:52:48ID:Y3NTQ1NDM(1/2)NG報告

      行っても何もないじゃん。

      売春婦像?ww

      楽しいか?

    • 141名無し2025/08/13(Wed) 14:00:42ID:I4NzYyNTc(1/1)NG報告

      中身のない物を立派に見せようとするが
      上手くいかないのを永遠に繰り返すのが
      朝鮮文化w

      観光、韓流、Kリーグ、KBO、ノーベル賞、
      サムソン、現代自動車、ウォンの基軸通貨
      WWWWWWWWWWWWWWWWWWWWW

    • 142名無し2025/08/13(Wed) 14:18:01ID:Y3NTQ1NDM(2/2)NG報告

      >>139

      ちょっと待ったw

      日本 - 韓国 の便の92.4%が韓国便w

      日本の航空会社側は全くビジネスとして考えてねーってことだよな。wwww

    • 143名無し2025/08/13(Wed) 15:10:27ID:gzNjMzMjk(1/1)NG報告

      ガラガラ商店街にボッタクリ
      残飯食中毒に不味い酒

      まさに朝鮮ww

    • 144名無し2025/08/13(Wed) 16:25:09ID:Y3NDQ2MzU(1/1)NG報告

      Instagramの前に美的感覚が壊滅的だからなww

    • 145名無し2025/08/13(Wed) 16:50:17ID:U4Mjc4MTU(1/1)NG報告

      どんなところでも観光地になる。
      過疎地や自然や集落も、生きている、生々しさが重要。

      釜山地域も、若者の流出と過疎化が深刻とニュースになっているが、これも魅力的な観光地となる。

レス投稿

画像をタップで並べ替え / 『×』で選択解除